모기 멸종이 가능할까요? 멸종 프로젝트?

by 건강기자단

모기, 이 작은 날개 달린 녀석들이 지구상에서 얼마나 오랜 시간을 보냈는지 아세요? 무려 1억 7,000만 년 전, 쥐라기 시대에 첫 등장을 하여 지금의 모기보다 무려 3배나 컸던 시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캐나다에서 발견된 7,900만 년 전의 호박 속에 갇힌 모기는 그 시절의 모습을 오늘날까지 간직하고 있지요.

세계보건기구(WHO)는 모기를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인 생물’로 꼽습니다.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와 같은 무시무시한 질병들을 퍼트리며, 매년 약 72만 5,000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주범이죠. 하지만 모기가 피를 빨 때는 응고를 막는 특별한 타액을 주입해요. 이로 인해 피부가 붓고 가려움을 유발하죠. 여행 중에 물리면 그 가려움은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모기의 멸종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시도는 해봤어? 프레즈노 프로젝트!

프레즈노 프로젝트, 아마도 이것은 모기와의 전쟁에서 인간이 개발한 가장 창의적인 작전 중 하나일 것입니다. 구글의 생명과학 자회사 베릴리(Verily)는 마치 과학 소설에서나 볼 법한 장면을 현실로 만들었습니다. 그들의 계획? 바로 모기를 이용한 모기 퇴치입니다!

이 작전의 핵심은 볼바키아 박테리아입니다. 이 박테리아는 특별히 무해하지만, 모기의 번식을 방해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니고 있죠. 베릴리는 볼바키아에 감염된 수컷 모기 2,000만 마리를 미국 캘리포니아의 프레즈노에 방사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바로 ‘암살에 의한 전멸’입니다!

이 수컷 모기들은 야생의 암컷 모기와 교미를 하지만, 볼바키아 박테리아 덕분에 그들의 알은 덜 부화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암컷 모기의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고, 사람을 물어 질병을 전파하는 모기의 수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프레즈노 프로젝트 관계자에 따르면, 이 실험은 대성공을 거두었고 암컷 모기의 개체 수가 3분의 2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는 곧 모기로 인한 질병의 위험도 크게 낮춘다는 의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모기와의 싸움에서 과학이 어떻게 똑똑하고 안전하게 승리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훌륭한 예입니다. 우리가 과학 소설을 읽는 것처럼, 베릴리의 과학자들은 현실에서 그것을 실현했습니다.

그럼에도 모기 박멸을 주저하는 이유

과학자들은 모기와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무기를 개발했지만, 이 흥미진진한 전투에서 모기를 완전히 박멸하는 것이 진짜 좋은 아이디어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첫째, 모기는 생태계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물고기, 새, 거미, 개구리 등 다양한 동물들의 먹이 공급원이기도 하죠. 이 모든 생물이 모기를 먹이로 삼아 살아가고 있는데, 만약 모기가 갑자기 사라진다면, 이들의 식사 메뉴에서 주요 요리가 사라지는 것과 같은 충격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는 생태계에 불균형을 초래하며 예상치 못한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둘째, 모기는 식물의 수분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특히 북극 툰드라 같은 지역에서는 모기가 없으면 식물의 성장과 번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치 영화에서 중요한 캐릭터를 빼버리면 스토리가 통째로 흔들리듯, 모기 한 마리의 사라짐도 자연의 대규모 드라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셋째, 모기를 통한 질병의 위협은 크지만, 모기 자체가 자연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모기가 전하는 질병들을 통제하는 것과 모기를 완전히 없애버리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모기의 박멸은 마치 마법사가 강력한 마법을 사용할 때 부작용을 고려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결국, 프레즈노 프로젝트와 같은 연구는 모기를 효율적으로 통제하여 인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찾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모기 박멸이 아니라 ‘모기 관리’로 접근하는 것이죠. 이는 더욱 현명한 선택으로, 마치 영화의 결말을 지혜롭게 만드는 듯, 자연의 균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삶을 보호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이 글도 같이 읽어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