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by 건강기자단
Published: Updated:

미세먼지란 무엇인가요?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주 작은 입자를 뜻합니다. 주로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인 PM10과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PM2.5로 나뉘며, 특히 PM2.5는 초미세먼지로 불립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 호흡기를 통해 몸속 깊이 침투할 수 있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 원인은?

미세먼지는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 자연적 요인: 황사, 화산재, 꽃가루 등
  • 인위적 요인: 공장 배기가스, 자동차 매연, 건설 현장의 먼지, 화석 연료 연소

특히 한국에서는 중국발 미세먼지와 국내 대기오염이 결합해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절적으로 봄과 겨울에 미세먼지 수치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예: 천식, 기관지염)과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했으며, 장기 노출 시 폐암 위험도 증가한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어린이, 노인, 임산부는 미세먼지에 더 취약합니다.

미세먼지 증상

  • 목 따끔거림
  • 기침 및 호흡곤란
  • 눈 따가움
  • 피부 트러블

미세먼지 예방법과 대처법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음 방법들이 있습니다.

  1. 마스크 착용: KF94, KF80 등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를 사용하세요.
  2. 실내 공기 관리: 공기청정기를 활용하고, 창문을 닫아 먼지 유입을 줄이세요.
  3. 외출 자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이상일 때는 야외 활동을 최소화하세요.
  4. 물 자주 마시기: 호흡기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해줍니다.

미세먼지 농도 확인 방법

  • : ‘미세미세’, ‘에어코리아’ 같은 앱으로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세요.
  • 웹사이트: 기상청이나 환경부 사이트에서 지역별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미세먼지 정책

한국 정부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시행 중입니다. 비상저감조치로 차량 2부제, 공장 가동 중단 등을 시행하며,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합니다. 또한,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통해 겨울철(12월~3월) 집중 관리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 글도 같이 읽어봐요